김근태 (1947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김근태(1947년)는 서울대학교 재학 시절 학생운동을 주도하고, 박정희 정권에 저항하며 민주화 운동에 헌신한 대한민국의 정치인이다. 그는 고문 후유증으로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와 파킨슨병을 앓았으며, 1985년 민청련 사건으로 체포되어 이근안에게 고문을 받았다. 1995년 정치에 입문하여 국회의원을 3선 했으며, 보건복지부 장관과 열린우리당 의장을 역임했다. 2011년 64세의 나이로 패혈증으로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새정치국민회의 당원 - 추미애
추미애는 대한민국의 판사 출신 정치인으로, 김대중 전 대통령의 권유로 정계에 입문하여 다선 국회의원, 더불어민주당 대표, 법무부 장관을 역임했다. - 새정치국민회의 당원 - 박지원 (1942년)
박지원(1942년)은 전라남도 진도군 출신의 대한민국 정치인으로, 5선 국회의원, 김대중 정부 대통령비서실장 및 문화관광부 장관, 문재인 정부 국가정보원장을 역임했으며, 김대중 전 대통령 지원을 통해 정계에 입문하여 주요 당직을 맡았고 남북정상회담 성사에 기여했으나 대북 불법 송금 사건으로 유죄 판결을 받았다. - 대한민국의 진보주의자 - 박원순
박원순은 대한민국의 법조인, 사회운동가, 정치인으로, 인권변호사, 시민운동가, 사회적 기업 운동가로 활동하다가 무소속으로 서울특별시장에 당선되어 대한민국 최초의 3선 서울특별시장이 되었으나, 성추행 혐의로 고소당한 후 사망했다. - 대한민국의 진보주의자 - 진중권
대한민국의 미학자이자 작가, 평론가, 대학교수인 진중권은 서울대학교 미학과를 졸업하고 독일에서 철학 박사 과정을 밟았으며, 여러 대학에서 교수를 역임하며 미학, 예술, 정치, 사회에 대한 저술 및 번역 활동과 진보 정당 활동을 해왔다. - 대한민국의 보건복지부 장관 - 유시민
유시민은 경주 출신의 작가이자 정치인, 유튜버로, 민주화 운동 참여, 정계 입문 후 국회의원과 보건복지부 장관을 역임했으며, 현재는 작가, 방송인, 유튜버로 활동하며 노무현재단 이사장을 지낸 인물이다. - 대한민국의 보건복지부 장관 - 이태복
이태복은 대한민국의 노동운동가, 언론인, 정치인, 사회운동가로서, 민주화 이후 국민의 정부에서 청와대 복지노동수석비서관과 보건복지부 장관을 역임하며 주5일제 도입과 건강보험 재정 건전화에 기여했고, 퇴임 후에는 사회운동과 독립운동가 및 민주화 운동가를 기리는 활동을 펼쳤다.
김근태 (1947년)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인적 사항 | |
출생일 | 1947년 2월 14일 |
출생지 | 부천시, 미 군정기 남한 |
사망일 | 2011년 12월 30일 (64세) |
사망지 |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
배우자 | 인재근 (1947–2011) |
종교 | 로마 가톨릭 (세례명: 자카리아) |
학력 | |
출신 학교 | 서울대학교 |
정치 경력 | |
정당 | 민주당 (1996–2003, 2007–2011) 열린우리당 (2003–2007) |
국회의원 | 15대: 1996년 5월 30일 – 2000년 5월 29일 (도봉구 갑) 16대: 2000년 5월 30일 – 2004년 5월 29일 (도봉구 갑) 17대: 2004년 5월 30일 – 2008년 5월 29일 (도봉구 갑) |
보건복지부 장관 | 임기: 2004년 7월 1일 – 2006년 2월 10일 대통령: 노무현 국무총리: 이해찬, 한덕수 (대행) |
열린우리당 의장 | 임기: 2006년 6월 9일 – 2007년 2월 4일 이전: 정동영 이후: 정세균 |
기타 | |
웹사이트 | 김근태 블로그 |
2. 생애
김근태는 1947년 2월 14일 경기도 부천군(현재의 부천시)에서 태어났다.[4] 1965년 경기고등학교를 졸업하고 서울대학교 경제학과에 입학하여 학생운동을 주도, 손학규, 조영래와 함께 ‘서울대 운동권 3총사’로 불렸다.
박정희, 전두환 정권에서 민주화 운동을 하다가 수배와 투옥을 반복하였다. 1985년 민청련 사건으로 구속되어 이근안에게 고문을 받았다.[17][18][19]
1996년 제15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당선된 후 16대, 17대 국회의원을 지냈고, 노무현 정부에서 보건복지부 장관, 열린우리당 의장 등을 역임했다. 2008년 제18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한나라당 신지호 후보에게 패배했다. 이후 민주통합당 상임고문을 역임하였다.
민주화 운동 과정에서 당한 고문 후유증으로 파킨슨병을 앓았다.[17][21] 2011년 12월 초 뇌정맥혈전증 투병 사실을 공개하였고, 12월 말 위독한 상태에 빠져 12월 30일 서울대학교병원에서 65세의 나이로 사망하였다.[22]
사후 2016년 '민주주의자 김근태 상'이 제정되었다.[23]
2. 1. 민주화 운동 투신
김근태는 1965년 경기고등학교를 졸업하고 서울대학교 경제학과에 입학했다. 대학교 재학 시절 학생운동을 주도하며 손학규, 조영래와 함께 ‘서울대 운동권 3총사’로 불렸다.박정희 정권과 전두환 정권 시절에는 재야 단체에서 활동하면서 민주화 운동을 이끌었다. 이 과정에서 여러 차례 수배와 투옥을 겪었다. 특히, 전두환 정권 시기인 1985년 9월에는 민청련 사건으로 구속되어 경기도경찰국의 고문기술자 이근안에게 22일간 혹독한 고문을 당했다.[17][18][19] 이로 인해 징역 5년을 선고받았다.
1992년 1월 30일, 서울민사지방법원은 김근태가 국가를 상대로 제기한 손해배상 청구소송에서 국가의 불법행위를 인정하고, 고문 행위에 따른 위자료 3천 5백만원, 불법구금 및 고문 증거 인멸 행위에 대한 손해배상금 5백만원 등 총 4천 5백만원을 지급하라는 판결을 내렸다.[20] 재판부는 "아무리 고상한 명분이나 국가적 목적이 있는 수사라 하더라도 인간의 존엄과 가치를 무시한 고문을 통해 얻어진 사회안정과 국가안보는 무의미하다"고 판시했다.[20]
2. 2. 민청련 사건과 고문 피해
김근태는 전두환 정권 시절인 1985년 9월 민청련 사건으로 구속되어 22일간 경기도경찰국의 고문기술자인 이근안 경감에게 고문을 받았다.[17][18][19] 이근안의 고문에 김근태는 애원했고 이후 징역 5년을 선고받았다.김근태는 1985년 9월 4일부터 9월 20일까지 전기고문과 물고문을 각 5시간 정도 당했다고 진술했다. 고문자들은 비명이 새어나가지 않게 라디오를 크게 틀었고, 김근태가 비명으로 목이 쉬면 약을 투여해 목을 트이게 했다. 9월 13일에는 "최후의 만찬이다", "예수가 죽었던 최후의 만찬이다", "너 장례날이다"라는 협박과 함께 두 차례 전기고문을 가했다. 김근태는 9월 20일 만신창이가 되었고, 9월 25일에는 집단 폭행 후 알몸으로 바닥을 기며 살려달라고 애원해야 했다.[19][24][25]
1985년 12월 19일 서울형사지방법원 118호 법정(재판장 서성, 배석 김희근, 여상훈)에서 김근태는 자신의 고문 피해 사실을 상세히 진술했다.
1992년 1월 30일, 서울민사지방법원은 김근태가 국가를 상대로 낸 손해배상 청구소송에서 국가의 불법행위를 인정하고, 고문행위에 따른 위자료 3천 5백만원, 불법구금 및 고문증거 탈취, 인멸행위로 인한 손해배상금 각 5백만원 등 총 4천 5백만원을 지급하라는 원고 승소판결을 내렸다.[20] 재판부는 "고문을 금지하고 형사 피의자의 진술거부권을 보장한 헌법규정(12조2항)에 위배"되며 "인간의 존엄과 가치를 무시한 고문을 통해 얻어진 사회안정과 국가안보는 무의미하다"고 판시했다.
김근태의 고소사건은 무혐의 처리되었으나, 서울고등법원에 재정신청을 내어 받아들여졌다. 서울형사지방법원은 당시 고문을 한 김수현 등 4명에게 징역 5년에서 2년까지를 선고했다.[20]
2004년 11월에는 충청북도 도청 소속 공무원이 김근태 형제, 숙부가 월북했다는 등 빨갱이라는 내용을 언론사 독자게시판에 350차례 올린 혐의로 구속되기도 했다.[26]
2. 3. 정치 입문과 활동
김근태는 1995년 김대중의 권유로 민주당에 입당하며 정계에 입문했다.[2] 이후 김대중이 창당한 새정치국민회의에 합류했고, 1996년 4월 제15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서울 도봉구 갑에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이후 16대, 17대 총선에서도 연이어 당선되며 3선 국회의원을 지냈다.1990년대 후반부터 2000년대 초반까지 김근태는 새정치국민회의와 새천년민주당에서 주요 당직을 맡았다. 1995년 새정치국민회의 부총재를 역임했고, 2000년에는 새천년민주당 최고위원에 선출되었다. 2003년 새천년민주당이 열린우리당과 분당되는 과정에서 국민참여통합신당 원내대표를 맡았고, 이후 열린우리당 원내대표를 역임했다.
2004년 노무현 정부에서 보건복지부 장관으로 임명되어 2006년까지 재임했다. 보건복지부 장관 시절, 김근태는 국민연금 개혁, 건강보험 보장성 강화 등 굵직한 정책들을 추진했다.
2006년 열린우리당 의장에 취임했으나, 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참패의 책임을 지고 물러났다. 2007년에는 2007년 대한민국 대통령 선거 불출마를 선언했다.
2008년 제18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통합민주당 후보로 출마했으나, 한나라당 신지호 후보에게 패배하여 낙선했다.
2000년, 김근태는 권노갑으로부터 불법 정치 자금 2천만 원을 수수한 혐의로 기소되었다.[11] 2003년, 법원은 김근태에게 벌금 500만 원과 추징금 2천만 원을 선고했다.[12]
2006년, 김근태는 개성공업지구 방문 중 북한 여성과 춤을 춘 이른바 '개성 댄스 사건'으로 논란이 되었다.[14][15][16] 당시 북한의 핵실험으로 국제사회의 대북 제재 논의가 진행 중이었고, 김근태가 국회 국방위원이었기 때문에 비판을 받았다.
2. 4. 투병과 사망
김근태는 민주화 운동 과정에서 당한 고문 후유증으로 파킨슨병을 앓게 되었다는 주장이 있다.[17][21] 1985년 민청련 사건으로 구속되었을 때, 이근안 경감에게 22일간 고문을 받은 것이 원인이었다.[17][18][19] 고문 후유증으로 김근태는 큰 소리로 말하면 콧물이 나와 연설을 작은 소리로만 해야 했고, 항상 손수건을 휴대해야 했다.[10]2006년 파킨슨병 진단을 받았으나, 이를 숨기고 치료를 계속했다. 2011년 11월에는 뇌정맥혈전증이 발견되어 서울대학교병원에 입원했고, 12월 8일 입원 사실과 함께 파킨슨병 투병 사실을 공개했다.[8] 그러나 12월 말 위독한 상태에 빠졌고, 결국 2011년 12월 30일 오전 5시 30분 서울대학교병원에서 패혈증으로 65세의 나이로 사망하였다.[22]
3. 학력
4. 경력
김근태는 민주화 운동과 정치 분야에서 다양한 경력을 쌓았다. 주요 경력은 다음과 같다.
연도 | 경력 |
---|---|
1971년 2월 | 서울대 내란음모 사건으로 수배[2] |
1974년 | 긴급조치 4호 위반 혐의로 수배[2] |
1983년 | 민주화운동청년연합(민청련) 초대 의장[2] |
1985년 | 민청련 사건으로 구속되어 1987년까지 복역. 이 과정에서 고문 피해[2] |
1988년 | 배우자 인재근과 함께 로버트 케네디 인권상 수상[1] |
1989년 | 전국민족민주운동연합(전민련) 정책기획실장 및 집행위원장 역임[2] |
1990년 | 전민련 활동으로 구속되어 1992년까지 복역[2] |
1995년 | 민주당 부총재 및 새정치국민회의 부총재 역임 |
1996년 - 2008년 | 대한민국 제15대 국회의원 선거 (도봉구 갑, 새정치국민회의), 대한민국 제16대 국회의원 선거 (도봉구 갑, 새천년민주당), 대한민국 제17대 국회의원 선거 (도봉구 갑, 열린우리당)에서 연이어 당선되어 3선 국회의원 역임 |
1999년 | 국제금융박람회 추진위원회 위원장 |
2001년 | 한반도평화와경제발전전략연구재단(한반도재단) 이사장 |
2001년 11월 | 새천년민주당 상임고문 |
2002년 11월 | 국회 정치개혁특별위원회 위원 |
2003년 10월 - 2004년 5월 | 열린우리당 원내대표 |
2004년 7월 - 2005년 12월 | 보건복지부 장관 |
2006년 2월 - 2006년 5월 | 열린우리당 최고위원 |
2006년 6월 - 2007년 2월 | 열린우리당 의장 |
2007년 8월 | 대통합민주신당 창당발기인 및 중앙위원 |
2008년 2월 - 2011년 12월 | 통합민주당 및 민주당 상임고문 |
2011년 12월 | 민주통합당 상임고문 |
5. 가족 관계
- 배우자: 인재근[1]
- * 딸: 김병민
- * 아들: 김병준
김근태는 1987년 아내 인재근과 함께 로버트 F. 케네디 인권상을 수상했다.[1]
6. 상훈
7. 저서
8. 대중문화 속 김근태
9. 역대 선거 결과
연도 | 선거 종류 | 소속 정당 | 득표수 (득표율) | 순위 | 당락 | 비고 |
---|---|---|---|---|---|---|
1996년 | 총선 | 새정치국민회의 | 27,768표 (38.85%) | 1위 | 당선 | 초선 |
2000년 | 총선 | 새천년민주당 | 34,233표 (50.85%) | 1위 | 당선 | 재선 |
2004년 | 총선 | 열린우리당 | 42,583표 (52.13%) | 1위 | 당선 | 3선 |
2008년 | 총선 | 통합민주당 | 31,335표 (46.16%) | 2위 | 낙선 | 대한민국 제18대 국회의원 선거 서울특별시#도봉구 갑 |
10. 기타
김근태는 민주화 운동가들 사이에서 "영원한 선배"라는 별명으로 불릴 정도로 큰 영향력을 가지고 있었다.[10] 고문 후유증으로 인해 큰 소리로 말하면 콧물이 나와 연설은 작은 소리로만 진행해야 했고, 항상 손수건을 휴대해야 했다.[10]
자신을 고문한 이근안의 사과에 대해서는 허식과 같은 것으로 받아들이지 않았다. 하지만 이근안은 후에 인터뷰에서 "고문이 아니라 심문이었고, 심문은 일종의 예술이며, 당시 시대 상황에서는 애국이었다"라고 말했기 때문에 김근태의 비판이 옳았던 것으로 보인다.[10]
2000년 8월, 새천년민주당 최고위원 예비 선거 당시, 전 민주당 고문 권노갑으로부터 2000만원을 수수했다는 불법 정치 자금 수수 혐의로 2002년 11월에 기소되었다. 김근태는 2002년 3월 기자 회견에서 이 사실을 스스로 인정했다.[11] 2003년 8월, 정치자금법 위반 혐의로 징역 6개월이 구형되었지만, 벌금 500만 원, 추징금 2000만원의 벌금형이 선고되어 의원직 상실은 면했다.[12]
2005년 8월, 라이카가 안중근의 손바닥 도장과 "대한민국인(大韓國人)"이 새겨진 한정판 카메라 60대를 제작했을 때, 가장 먼저 증정받은 사람은 당시 보건복지부 장관을 맡고 있던 김근태였다. 라이카 측에서는 "안중근과 이미지가 비슷하다"는 이유를 밝혔다.[13]
2006년 10월 20일, 개성공업지구를 시찰했을 때 북한 여성과 춤을 춘 사건(개성 댄스 사건)이 있었다. 당시 콘돌리자 라이스 미국 국무장관이 북한에 대한 제재 결의 이행을 요구하며 순방 중이었고, 김근태가 국회 국방위원 직에 있었기 때문에 비판을 받았다. 김근태는 "당시 분위기상 어쩔 수 없었다"고 해명했다.[14][15][16]
대학 시절에는 사회주의에 경도되어 일본의 사회주의 관련 서적을 읽고 싶어서 독학으로 일본어를 공부했다.
참조
[1]
웹사이트
Robert F. Kennedy Center Laureates
http://rfkcenter.org[...]
[2]
뉴스
S. Korea's 'democracy godfather' dies
http://english.yonha[...]
Yonhap News Agency
2011-12-30
[3]
웹사이트
Mr. Geun Tae KIM
http://www.oecd.org/[...]
OECD
[4]
웹사이트
대한민국헌정회
https://www.rokps.or[...]
2022-03-12
[5]
웹사이트
'김근태 부인·인권운동가' 인재근 여성가족위원장
https://www.yna.co.k[...]
2019-06-28
[6]
뉴스
総選挙:統合民主党、大物議員の落選で激震
http://www.chosunonl[...]
朝鮮日報
2008-04-10
[7]
뉴스
番狂わせの総選挙、実力派議員の明暗分かれる
http://japanese.yonh[...]
聯合ニュース
2008-04-10
[8]
뉴스
‘반독재 투쟁’ 김근태 병마와 투쟁(‘反独裁闘争’金槿泰 病魔と闘争)
http://www.hani.co.k[...]
2011-12-08
[9]
뉴스
金槿泰元保険福祉相が死去=民主化リーダー、大統領候補にも
http://www.jiji.com/[...]
2011-12-30
[10]
웹사이트
김근태가 큰 소리로 연설할 수 없었던 까닭은?
https://www.ohmynews[...]
2011-12-31
[11]
웹사이트
김근태의원 불구속 기소…권노갑씨에 돈받은 혐의
https://www.donga.co[...]
2002-11-22
[12]
웹사이트
김근태의원 벌금 500만원 권노갑씨는 700만원
https://m.khan.co.kr[...]
2003-08-14
[13]
웹사이트
獨라이카 ‘안중근 카메라’ 만들었다
https://www.khan.co.[...]
2005-08-16
[14]
뉴스
訪朝した与党議長、北朝鮮女性とダンス
http://www.chosunonl[...]
朝鮮日報
2006-10-21
[15]
뉴스
踊った与党議長の弁明「場の雰囲気壊せなかった」
http://www.chosunonl[...]
朝鮮日報
2006-10-21
[16]
뉴스
漫評-【10月21日】北朝鮮で踊る与党議長
http://www.chosunonl[...]
朝鮮日報
2006-10-21
[17]
간행물
김근태는 27년째 고문받고 있다
2011-12-24
[18]
뉴스
'고문기술자' 이근안 전 경감, 목사됐다
http://article.joins[...]
2008-11-01
[19]
뉴스
네티즌 사이 다시 회자된 김 의원 고문사건
http://www.ohmynews.[...]
오마이뉴스
2004-06-23
[20]
뉴스
https://news.naver.c[...]
[21]
뉴스
법정에 선 ‘밀실 고문’…재판부는 ‘증거 보전’ 기각
http://www.hani.co.k[...]
2009-12-21
[22]
뉴스
김근태 민주통합당 상임고문 별세
http://www.asiae.co.[...]
2011-12-30
[23]
뉴스
"삶 전체가 민주주의인 사람"…'민주주의자 김근태 상' 제정
http://www.yonhapnew[...]
연합뉴스
[24]
서적
한국 현대사 산책
[25]
뉴스
보도 통제·방청 제한…법정 안팎 공권력 장벽
http://www.hani.co.k[...]
한겨레신문
2010-01-03
[26]
뉴스
인터넷 총선후보 비방 글…6급 공무원 구속영장
https://news.naver.c[...]
동아일보
2004-04-1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